종교 지도자를 국가가 임명한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놀랄 수밖에 없습니다. 종교는 정치와 분리돼 있어야 한다는 게 일반적인 상식입니다. 하지만 최근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끄는 교황청과 중국 정부가 주교 임명에 관한 합의를 연장하면서, 중국에서는 국가의 승인 없이는 가톨릭 주교가 임명될 수 없게 됐습니다. 이 합의를 통해 가톨릭 교회의 독립성이 국가에 의해 위협받는 상황이 된 것입니다. 더 놀라운 점은 교황청이 이런 상황을 사실상 받아들이고 있다는 겁니다.
교황청은 “중국과의 협력은 존중과 대화를 바탕으로 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의 지하 교회 신자들에게 이 상황은 다르게 다가옵니다. 오랜 기간 중국 정부의 탄압 속에서도 신앙을 지켜온 지하 교회 신자들은, 이제 정부의 승인을 받은 주교의 지도 아래에서 신앙 생활을 해야 합니다. 종교적 자유를 위해 고난을 감내해온 신자들에게는 이번 합의가 그들의 신앙을 무시하는 것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번 합의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그로 인해 중국 정부의 요구에 가톨릭 교회가 굴복한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종교적 지도자가 국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것은 종교의 독립성을 크게 훼손하는 일입니다. 교회의 중요한 결정이 이제 국가의 허락을 받아야 가능한 일이 되면서, 교회의 독립성은 사실상 사라져 버린 것입니다.
이런 상황은 중국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이슬람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에서도 종교 지도자가 국가 지도자로 군림합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국왕이 종교적 권위를 가지며, 이슬람 율법이 법의 근간을 이룹니다. 이란에서도 최고 지도자가 종교적 권위를 통해 정치적 결정을 주도합니다. 이들 국가에서는 종교와 정치가 분리되지 않아 종교적 자유보다는 국가의 요구가 더 우선시됩니다.
이번 교황청과 중국의 합의는 종교가 정치적 도구로 전락할 수 있다는 현실을 보여줍니다. 종교는 본래 신앙과 도덕을 가르치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이제 종교의 자유가 국가의 승인을 받아야만 보장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가톨릭 주교의 임명도 교회의 독립적인 결정이 아니라 국가의 통제를 받게 된 것입니다.
교황이 이 문제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는 점은 많은 신자들에게 실망을 안기고 있습니다. “종교 지도자를 국가가 임명한다”는 이야기가 이제는 단순한 농담이 아니라 현실이 되었습니다. 정치적 타협 속에서 종교의 본질이 흔들리고, 그 결과를 신자들이 감내해야 하는 현실이 된 것입니다. 이번 일을 통해 종교의 독립성은 어디로 갔으며, 신앙의 자유란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볼 때입니다.
'해외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든 종교는 하느님에게 이르는 길": 교황 발언의 논란과 메시지 (0) | 2024.11.15 |
---|---|
2027년 서울에서 열리는 세계청년대회(WYD), 기대와 논란 사이 (1) | 2024.11.04 |
프란치스코 교황 기념 음악회, ‘사치’ 논란 일어 (1) | 2024.10.27 |
프란치스코 교황, 전쟁 비판과 연대의 메시지…실질적 행동은 부족? (1) | 2024.10.27 |
"천주교 성지화 논란: 종교 간 갈등과 공존의 과제" (3) | 2024.10.18 |